억울한 마음이 드는 건 당연합니다.
유치원아동학대 혐의를 처음 듣게 된 순간부터, 평범했던 일상이 무너지기 시작했을 겁니다.
그런데도 주변에서는 “별일 아닐 거야”, “진술만 잘하면 끝나”라고 쉽게 말하지요.
과연 그 말, 그대로 믿을 수 있을까요.
문제는, 이 사건이 단순 민원이 아니라 형사사건으로 넘어가는 시점부터 생깁니다.
형사 절차에 들어가면, 모든 말과 행동이 기록되고 해석되며, 그 해석은 결코 유리하게 흘러가지 않습니다.
유치원아동학대 사건은 그 자체로도 민감한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에, 초기부터 방심하면 안 되는 겁니다.
학대라는 말,
기준은 생각보다 복잡합니다
유치원아동학대라는 단어를 들으면, 대개는 ‘심한 폭행’이나 ‘신체적 학대’를 떠올립니다.
하지만 실제 수사 현장에서는 ‘정서적 학대’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합니다.
문제는 이 개념이 매우 추상적이라는 점입니다.
아이에게 큰소리를 냈다, 혼을 냈다, 잠시 따로 세워놨다.
이런 것들도 정황만 맞아떨어지면 정서적 학대로 포장되기 쉽습니다.
왜 이렇게 확대 해석될까요?
수사기관은 피해자의 진술을 ‘객관적 사실’로 간주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보호자가 함께 진술하거나, CCTV 영상에서 일부 장면이 발췌돼 제시되면, 분위기는 금세 바뀝니다.
교사의 입장에서 “그건 훈육이었다”라고 항변해도, 이미 방향이 정해진 수사 흐름을 뒤집기는 어렵습니다.
결국, 유치원아동학대라는 구조는 수사기관의 ‘해석’에서 출발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초기 진술이 흐름을 바꿉니다
수사를 받아본 적 없으시지요.
그렇다면 첫 진술이 얼마나 중요한지 모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진술은 단순한 말의 나열이 아닙니다.
형사절차에서 진술은 '입장'이자 '전략'이 됩니다.
처음에 말이 엇갈리면, 그 자체가 의도적인 왜곡으로 간주되기도 합니다.
단순히 “기억이 잘 안 난다”라는 말도, 수사기관은 ‘숨기고 있다’라고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았지요.
실제로 어떤 경우가 있었냐면, 평소에 조용하고 차분했던 교사였습니다.
그런데 조사 중 CCTV를 반복 재생하며 몰아붙이자, 결국 말이 꼬이기 시작했습니다.
그 한순간의 실수로, 사건은 법원까지 갔고, 학부모 민원까지 뒤섞이며 상황은 악화됐습니다.
유치원아동학대 사건은 이렇게 ‘말’로 인해 꼬일 수 있다는 걸 기억하셔야 합니다.
그래서일까요.
그 말 한마디 전에 누군가 냉정하게 상황을 정리해 줬다면 어땠을까 싶었습니다.
정황은 해석의 결과일 뿐입니다
정말 해치려는 마음은 없었습니다.
많은 교사들이 그렇게 말합니다.
그 말 자체는 틀리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아동학대 사건에서 중요한 건 ‘의도’가 아니라 ‘정황’입니다.
수사기관은 겉으로 드러나는 말이나 행동이 아니라, 평소의 관계, 감정의 흐름, 분위기를 바탕으로 판단합니다.
예를 들어, 언성이 높았던 날이 많았다면, 그 자체로 불리하게 작용합니다.
아이를 조용히 시켰을 뿐인데, 아이가 울었다면?
그 장면만 따로 편집돼 보여지면, 학대라고 해석될 수 있는 겁니다.
이처럼, 교사의 ‘의도’는 설명하지 않으면 아무도 알아주지 않습니다.
유치원아동학대 사건에서, 말하지 않으면 없는 것이 됩니다.
그리고 그 ‘없는 것’은 불리한 정황만을 남기고 사라집니다.
지금 가장 중요한 건 방향입니다
유치원아동학대라는 말을 들었을 때, 처음 든 생각이 무엇이었는지 떠올려보십시오.
억울하다, 말도 안 된다, 그럴 리 없다는 생각.
그 감정은 잘못된 게 아닙니다.
다만, 그 감정에만 머무르면 안 됩니다.
형사절차는 감정이 아닌 구조로 흘러가기 때문입니다.
아동학대 사건은 단순히 억울함만으로 막아낼 수 없습니다.
어디서부터 설명해야 할지, 무엇을 말해야 할지.
지금 필요한 건 정확한 판단입니다.
그리고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는 사실을 기억하셔야 합니다.
방향만 제대로 잡히면, 그 구조 안에서도 탈출구는 분명 존재합니다.
형사 전문 변호사에게 사건 진단을 받고 철저하게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형사 > 아동범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학대처벌법, 사실관계 파악이 먼저입니다 (1) | 2025.06.04 |
---|---|
아동복지법위반, 억울한 혐의는 어떻게 풀어야 하는가 (1) | 2025.05.29 |
어린이집아동학대 경찰 조사부터 대응해야 합니다 (2) | 2025.05.13 |